블로그에서 원문보기
https://blog.naver.com/myappkorea/223817127108
안녕하세요!
에듀뉴스 미대입시닷컴입니다.
오늘은 2025학년도부터 전면 시행되는
‘고교학점제 성취이수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기존의 고등학교 교육과정과는 많이 달라지는 만큼,
학생과 학부모님들 모두 꼭 알고 계셔야 하는 내용이니 끝까지 읽어주세요!
고교학점제란?
먼저, 고교학점제가 뭔지 간단히 정리하고 갈게요!
고교학점제란?
고교학점제는 학생이 본인의 진로와 적성에 맞는 과목을 선택하고, 3년 동안 최소 192학점을 이수하면 졸업하는 제도입니다. 기존의 ‘정해진 과목을 일괄적으로 배우는 방식’에서 벗어나, 대학처럼 원하는 과목을 골라 들을 수 있도록 바뀌는 거죠!
-2025학년도 고등학교 신입생부터 전면 시행!
-1학년 때는 공통과목 중심, 2·3학년 때는 선택과목 수강
-원하는 과목을 골라서 듣되, 일정 기준을 충족해야 졸업 가능
이제부터 학생들은 출석만으로 졸업할 수 없고, 선택한 과목을 제대로 공부해야 학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존: 모든 학생이 같은 과목, 같은 진도로 학습
고교학점제: 학생 개별 맞춤형 과목 선택 가능
고교학점제 수상신청 방법은?
고교학점제에서 수강신청은 어떻게 이루어질까?
고교학점제에서는 학생들이 대학처럼 직접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서 수강신청하는 방식으로 바뀌어요.
즉, 모든 학생이 똑같은 과목을 듣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맞춰 듣고 싶은 과목을 선택하는 구조죠.
수강신청의 기본 개념
✔️ 필수 과목 + 선택 과목 조합으로 구성
✔️ 졸업 학점을 채워야 졸업 가능 (일반고 기준 192학점 이상)
✔️ 학생이 직접 과목을 선택하고 수강신청
✔️ 일부 과목은 개설 여부가 학교마다 다를 수 있음
수강신청 절차
① 진로 상담 → 학교에서 진로 적성 검사 및 상담 진행
② 교과목 선택 → 필수 과목 + 원하는 선택과목 조합
③ 학교별 개설 과목 확인 → 희망 과목이 개설되는지 확인
④ 수강신청 → 정해진 기간 내에 신청
⑤ 시간표 확정 → 학교에서 최종적으로 반영
즉, 대학처럼 "어떤 과목을 들을지" 직접 선택하는 과정이 필요해요.
선택과목 체계와 필수이수학점
선택과목 체계와 필수 이수 학점
선택과목은 크게 일반 선택, 진로 선택, 융합 선택으로 구분돼요.
학생들은 필수 과목을 제외한 나머지 과목을 자신이 원하는 대로 구성할 수 있어요.
📌 필수 이수 학점 기준
공통 과목(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등): 기본적으로 이수해야 함
일반 선택 과목: 기본적인 교과 과정에서 선택 가능
진로 선택 과목: 특정 전공이나 진로를 고려하여 심화 학습
융합 선택 과목: 다양한 교과를 조합한 과목
👉 학생들은 진로에 맞게 일반 선택과 진로 선택 과목을 조합해서 들을 수 있어요.
📌 선택과목 예시
선택 유형 과목 예시
일반 선택 문학, 확률과 통계, 화학Ⅰ, 생명과학Ⅰ
진로 선택 심화 국어, 고급 수학Ⅰ, 국제 경제, 프로그래밍
융합 선택 빅데이터 분석, 미래 자동차, 심리학 개론
✔️ 일반 선택 과목은 기존의 내신 성적 반영 방식 그대로 적용
✔️ 진로 선택 과목은 **성취평가제(절대평가)**로 평가됨
고교학점제와 성취이수제?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성취이수제’**에 대해 알아볼까요? 고교학점제에서 성취이수제가 중요한 이유는 바로 학점을 인정받기 위해 일정한 기준을 충족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고교학점제: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서 학습하는 제도
-성취이수제: 선택한 과목의 학점을 받기 위해 일정 기준을 충족해야 하는 제도
즉, "출석만 하면 학점을 받는다"는 개념이 사라지는 거죠! 이제는 공부도 열심히 해야 학점이 인정됩니다.
성취이수제, 어떻게 적용 될까?
이제 성취이수제가 어떻게 운영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 이수 기준
학생이 학점을 받으려면 아래 두 가지 기준을 반드시 충족해야 합니다.
-- 출석률 ⅔ 이상 (즉, 수업의 3분의 2 이상 출석해야 함)
-- 학업성취율 40% 이상 (시험, 수행평가 등에서 최소 40% 이상 점수 획득)
이 중 하나라도 부족하면? 해당 과목은 ‘미이수’ 처리됩니다.
미이수 학생 보충 프로그램
미이수 학생을 위한 보충 프로그램입니다!
학기 중 또는 방학 동안 ‘최소 성취수준 보장지도’ 프로그램 운영
보충학습을 통해 성취도를 채울 기회를 제공
이마저도 참여하지 않으면 최종 미이수 확정 → 학생부(학교생활기록부)에 ‘미이수’로 기록
즉, 미이수를 받으면 대학 입시에서도 불리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학점 취득 기준 (출석 ⅔ + 학업성취율 40%)
선택과목 신청, 어떻게 진행 될까?
고교학점제에서는 학생들이 직접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서 수강해야 합니다. 2025학년도 신입생의 경우,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됩니다.
-과목 선택 절차
3~5월: 학교에서 교육과정 설명회, 진로 상담 진행
5~6월: 2·3학년 때 수강할 과목의 1차 신청
5~10월: 총 3차례에 걸쳐 추가 수강 신청 진행
수강 신청 인원이 적은 과목은 폐강될 수도 있음!
학교에 없는 과목은?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을 통해 다른 학교에서 개설한 과목도 수강 가능
서울시교육청 기준 57개 거점학교 + 서울온라인학교에서 90개 과목 운영 예정
2025년 1월 말까지 서울고교학점제지원센터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
-단, 1학년은 2학기부터 신청 가능
선택과목 신청 과정
학생이 과목을 신청하는 과정
설명회 → 상담 → 신청 → 폐강 여부 결정 → 최종 확정)
성취이수제, 반드시 알아야하는 이유!
이제 2025학년도부터 출석만으로 졸업하는 시대는 끝났다! 라는 걸 확실히 아셨죠?
📌 성취이수제 핵심 요약
-고교학점제는 원하는 과목을 골라 배우는 제도
-성취이수제는 출석(⅔ 이상)과 학업성취(40% 이상)를 충족해야 학점 인정
-미이수 시 보충학습 가능, 그래도 부족하면 최종 ‘미이수’ 확정
-선택과목 신청 필수! 원하는 과목을 미리 계획해야 함
새로운 교육과정이 도입되면서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역량이 더 중요해졌습니다.
앞으로는 어떤 과목을 듣고, 어떻게 공부할지 스스로 계획하는 능력이 필수입니다!
추가되는 사항은 추후 포스팅하겠습니다!
에듀뉴스
https://www.edunews.or.kr
미대입시닷컴
https://midaeipsi.com/
블로그에서 원문보기
https://blog.naver.com/myappkorea/223817127108
안녕하세요!
에듀뉴스 미대입시닷컴입니다.
오늘은 2025학년도부터 전면 시행되는
‘고교학점제 성취이수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기존의 고등학교 교육과정과는 많이 달라지는 만큼,
학생과 학부모님들 모두 꼭 알고 계셔야 하는 내용이니 끝까지 읽어주세요!
고교학점제란?
먼저, 고교학점제가 뭔지 간단히 정리하고 갈게요!
고교학점제란?
고교학점제는 학생이 본인의 진로와 적성에 맞는 과목을 선택하고, 3년 동안 최소 192학점을 이수하면 졸업하는 제도입니다. 기존의 ‘정해진 과목을 일괄적으로 배우는 방식’에서 벗어나, 대학처럼 원하는 과목을 골라 들을 수 있도록 바뀌는 거죠!
-2025학년도 고등학교 신입생부터 전면 시행!
-1학년 때는 공통과목 중심, 2·3학년 때는 선택과목 수강
-원하는 과목을 골라서 듣되, 일정 기준을 충족해야 졸업 가능
이제부터 학생들은 출석만으로 졸업할 수 없고, 선택한 과목을 제대로 공부해야 학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존: 모든 학생이 같은 과목, 같은 진도로 학습
고교학점제: 학생 개별 맞춤형 과목 선택 가능
고교학점제 수상신청 방법은?
고교학점제에서 수강신청은 어떻게 이루어질까?
고교학점제에서는 학생들이 대학처럼 직접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서 수강신청하는 방식으로 바뀌어요.
즉, 모든 학생이 똑같은 과목을 듣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맞춰 듣고 싶은 과목을 선택하는 구조죠.
수강신청의 기본 개념
✔️ 필수 과목 + 선택 과목 조합으로 구성
✔️ 졸업 학점을 채워야 졸업 가능 (일반고 기준 192학점 이상)
✔️ 학생이 직접 과목을 선택하고 수강신청
✔️ 일부 과목은 개설 여부가 학교마다 다를 수 있음
수강신청 절차
① 진로 상담 → 학교에서 진로 적성 검사 및 상담 진행
② 교과목 선택 → 필수 과목 + 원하는 선택과목 조합
③ 학교별 개설 과목 확인 → 희망 과목이 개설되는지 확인
④ 수강신청 → 정해진 기간 내에 신청
⑤ 시간표 확정 → 학교에서 최종적으로 반영
즉, 대학처럼 "어떤 과목을 들을지" 직접 선택하는 과정이 필요해요.
선택과목 체계와 필수이수학점
선택과목 체계와 필수 이수 학점
선택과목은 크게 일반 선택, 진로 선택, 융합 선택으로 구분돼요.
학생들은 필수 과목을 제외한 나머지 과목을 자신이 원하는 대로 구성할 수 있어요.
📌 필수 이수 학점 기준
공통 과목(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등): 기본적으로 이수해야 함
일반 선택 과목: 기본적인 교과 과정에서 선택 가능
진로 선택 과목: 특정 전공이나 진로를 고려하여 심화 학습
융합 선택 과목: 다양한 교과를 조합한 과목
👉 학생들은 진로에 맞게 일반 선택과 진로 선택 과목을 조합해서 들을 수 있어요.
📌 선택과목 예시
선택 유형 과목 예시
일반 선택 문학, 확률과 통계, 화학Ⅰ, 생명과학Ⅰ
진로 선택 심화 국어, 고급 수학Ⅰ, 국제 경제, 프로그래밍
융합 선택 빅데이터 분석, 미래 자동차, 심리학 개론
✔️ 일반 선택 과목은 기존의 내신 성적 반영 방식 그대로 적용
✔️ 진로 선택 과목은 **성취평가제(절대평가)**로 평가됨
고교학점제와 성취이수제?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성취이수제’**에 대해 알아볼까요? 고교학점제에서 성취이수제가 중요한 이유는 바로 학점을 인정받기 위해 일정한 기준을 충족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고교학점제: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서 학습하는 제도
-성취이수제: 선택한 과목의 학점을 받기 위해 일정 기준을 충족해야 하는 제도
즉, "출석만 하면 학점을 받는다"는 개념이 사라지는 거죠! 이제는 공부도 열심히 해야 학점이 인정됩니다.
성취이수제, 어떻게 적용 될까?
이제 성취이수제가 어떻게 운영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 이수 기준
학생이 학점을 받으려면 아래 두 가지 기준을 반드시 충족해야 합니다.
-- 출석률 ⅔ 이상 (즉, 수업의 3분의 2 이상 출석해야 함)
-- 학업성취율 40% 이상 (시험, 수행평가 등에서 최소 40% 이상 점수 획득)
이 중 하나라도 부족하면? 해당 과목은 ‘미이수’ 처리됩니다.
미이수 학생 보충 프로그램
미이수 학생을 위한 보충 프로그램입니다!
학기 중 또는 방학 동안 ‘최소 성취수준 보장지도’ 프로그램 운영
보충학습을 통해 성취도를 채울 기회를 제공
이마저도 참여하지 않으면 최종 미이수 확정 → 학생부(학교생활기록부)에 ‘미이수’로 기록
즉, 미이수를 받으면 대학 입시에서도 불리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학점 취득 기준 (출석 ⅔ + 학업성취율 40%)
선택과목 신청, 어떻게 진행 될까?
고교학점제에서는 학생들이 직접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서 수강해야 합니다. 2025학년도 신입생의 경우,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됩니다.
-과목 선택 절차
3~5월: 학교에서 교육과정 설명회, 진로 상담 진행
5~6월: 2·3학년 때 수강할 과목의 1차 신청
5~10월: 총 3차례에 걸쳐 추가 수강 신청 진행
수강 신청 인원이 적은 과목은 폐강될 수도 있음!
학교에 없는 과목은?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을 통해 다른 학교에서 개설한 과목도 수강 가능
서울시교육청 기준 57개 거점학교 + 서울온라인학교에서 90개 과목 운영 예정
2025년 1월 말까지 서울고교학점제지원센터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
-단, 1학년은 2학기부터 신청 가능
선택과목 신청 과정
학생이 과목을 신청하는 과정
설명회 → 상담 → 신청 → 폐강 여부 결정 → 최종 확정)
성취이수제, 반드시 알아야하는 이유!
이제 2025학년도부터 출석만으로 졸업하는 시대는 끝났다! 라는 걸 확실히 아셨죠?
📌 성취이수제 핵심 요약
-고교학점제는 원하는 과목을 골라 배우는 제도
-성취이수제는 출석(⅔ 이상)과 학업성취(40% 이상)를 충족해야 학점 인정
-미이수 시 보충학습 가능, 그래도 부족하면 최종 ‘미이수’ 확정
-선택과목 신청 필수! 원하는 과목을 미리 계획해야 함
새로운 교육과정이 도입되면서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역량이 더 중요해졌습니다.
앞으로는 어떤 과목을 듣고, 어떻게 공부할지 스스로 계획하는 능력이 필수입니다!
추가되는 사항은 추후 포스팅하겠습니다!
에듀뉴스
https://www.edunews.or.kr
미대입시닷컴
https://midaeipsi.com/